영화 개요 - 진실을 향한 외침
〈1987〉은 장준환 감독이 연출하고,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설경구 등 대한민국 최고의 배우들이 총출동한 2017년작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1987년 대한민국을 뒤흔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중심으로, 그 사건이 어떻게 국민적 분노와 시민의 연대로 이어져 결국 6월 민주항쟁으로 폭발하게 되었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감독은 이 이야기를 ‘역사’가 아니라 ‘사람들의 용기’로 풀어냈습니다. 즉, 이 영화는 거대한 정치 이야기가 아니라, “진실을 지키려 한 평범한 사람들의 기록”이죠.
영화 포스터 |
줄거리 - 한 청년의 죽음, 그리고 모두의 각성
1987년 1월,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합니다. 당시 경찰은 이를 은폐하려고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말도 안 되는 발표를 내놓죠. 하지만 진실은 감춰지지 않았습니다. 검사 최환(하정우)은 시신 화장을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입니다. 그의 결단이 진실의 첫 단추가 됩니다. 기자 윤상삼(이희준)은 사건의 배후를 추적하며 보도를 시도하고,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위험을 무릅쓰고 사건 관련 서류를 외부로 빼돌립니다. 학생 연희(김태리)는 처음엔 세상 일에 무관심했지만, 점점 시대의 부름을 느끼며 거리로 나섭니다. 이들의 행동이 모여 결국 전국적인 분노로 번지고,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는 시민들의 함성이 서울 시내를 뒤덮습니다. 그해 여름, 대한민국은 마침내 민주주의의 문턱을 넘어섰습니다.
시위 장면 |
역사적 배경 - 독재의 끝자락, 시민의 각성
〈1987〉의 배경은 전두환 정권 말기, 엄격한 언론통제와 공포정치가 극에 달하던 시기입니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정권은 폭력적으로 국민을 억눌렀고, 대통령 직선제 요구는 철저히 봉쇄되었습니다. 언론은 검열당했고, 야당 정치인과 학생운동가들은 구속되었으며, 시민들은 ‘침묵’을 강요받던 시대였습니다. 그때 벌어진 것이 바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었습니다. 한 대학생의 죽음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억눌린 사회가 폭발하는 도화선이 되었죠.
박종철의 죽음 |
이 사건을 계기로 “진실은 결코 죽지 않는다”는 신념을 가진 언론인, 시민, 학생들이 목숨을 걸고 진실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그들의 용기와 국민의 분노가 합쳐져 1987년 6월, 전국적으로 500만 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이것이 바로 6월 항쟁,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결정적 전환점이었습니다.
영화가 보여준 ‘진짜 주인공들’
〈1987〉에는 영웅이 없습니다. 대신 양심을 지킨 평범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검사 최환(하정우) : 권력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법과 원칙을 지킨 사람. 그의 한마디 “부검합시다”는 진실을 향한 첫걸음이었습니다.
검사 최환(하정우 분) |
교도관 한병용(유해진) : 무명의 공무원이지만, 위험을 감수하며 진실이 담긴 편지를 밖으로 전달합니다. 그의 작은 행동이 역사를 바꾸었습니다.
교도관 한병용(유해진 분) |
기자 윤상삼(이희준) : 검열을 피해 진실을 기사로 쓰려는 언론의 양심.
기자 윤상삼(이희준 분) |
연희(김태리) : 처음엔 정치에 무관심했지만, 현실을 깨닫고 세상과 마주한 청춘 세대의 상징입니다.
연희(김태리) |
이들은 서로 알지 못하지만, 결국 한 점으로 이어집니다. 그 점이 모여 거대한 불꽃이 되었고, 그 불꽃이 한국의 민주주의를 다시 세웠습니다.
영화적 완성도 - 다큐보다 뜨겁고, 현실보다 사실적인
〈1987〉은 다큐멘터리가 아닙니다. 하지만 다큐보다 더 사실적입니다. 감독은 실제 사건의 날짜, 장소, 대사, 보도 내용을 철저히 고증했습니다. 그럼에도 영화는 교과서처럼 딱딱하지 않고, 인간적인 감정과 긴장감으로 가득합니다.
연출: 장준환 감독은 ‘지구를 지켜라’의 실험적 연출에서 벗어나, 이번엔 한국 현대사의 리얼리티를 정면으로 담아냈습니다.
연기: 김윤석의 냉혹한 경찰, 하정우의 단단한 검사, 유해진의 인간적인 교도관, 김태리의 성장하는 청춘, 각각의 인물이 시대를 대변하는 하나의 초상으로 남습니다.
냉혹한 경찰역 김윤석 |
음악과 편집: 격렬한 시위 장면에서 울려 퍼지는 함성, 고문실의 침묵, 신문사의 타자기 소리 - 모두가 ‘진실의 무게’를 감각적으로 전합니다.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 - 진실은 불타도 사라지지 않는다
〈1987〉은 단지 과거를 회상하는 영화가 아닙니다. 이 영화는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당신은 진실 앞에서 침묵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영화 속 인물들은 거대한 영웅이 아닙니다. 단지 자신의 자리에서 옳다고 믿는 일을 했을 뿐입니다. 하지만 그들의 용기가 모여 세상을 바꿨습니다. 1987년의 민주항쟁은 거대한 정치 세력이 아닌, 수많은 ‘작은 용기들’의 연대로 이루어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입니다. “민주주의는 피로 쓰이지만, 사람으로 완성된다.”
오늘날의 시선 - 다시, 1987을 묻다
영화 〈1987〉은 단지 과거의 한 장면을 재현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지금 우리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진실’을 둘러싼 싸움 속에 있습니다. 거짓 뉴스, 권력의 왜곡, 혐오와 침묵이 뒤섞인 시대에 〈1987〉은 다시 한 번 묻습니다. “그때의 용기를, 지금도 가지고 있습니까?” 이 영화는 단지 한 시대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던지는 역사적 경고이자 희망의 메시지입니다.
영화 포스터 |
맺음말 - 그해의 불꽃은 아직 꺼지지 않았다
〈1987〉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서사를 압축한 영화입니다. 그해의 청춘들은 권력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았고, 진실을 향한 열정으로 거리로 나섰습니다. 그들의 목소리는 세대를 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 불꽃은 여전히 타오르고 있죠. “그해, 대한민국은 한 청년의 죽음 위에서 깨어났다. 그리고 그 죽음은 지금도 우리에게 민주주의를 묻고 있다.”
역사 핵심 포인트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이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 정부는 은폐하려 했으나 부검과 언론 보도로 진실이 드러남.
당시 사건을 보도한 신문 |
이한열 열사 사망: 같은 해 6월, 시위 중 경찰의 최루탄에 맞아 사망. 국민 분노가 정점에 달해 전국적 시위로 번짐.
6월 항쟁: 전국 500만 명이 참여한 민주화운동. 결국 대통령 직선제 개헌(6·29 선언)으로 이어짐.
〈1987〉의 역사적 의미: 한 개인의 용기, 시민의 연대, 언론의 역할이 독재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되살린 시대의 기록.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