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읽는 역사] 한산: 용의 출현 - 학익진 전술과 바다위 지략 전쟁

서막: 조선의 운명이 걸린 바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조선의 바다는 일본군의 거센 파도에 휩쓸리고 있었습니다. 왜군은 이미 한양을 점령했고, 조선 조정은 우왕좌왕하며 무너지고 있었죠. 하지만 바다만큼은 달랐습니다. 이순신이라는 한 장군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영화 〈한산: 용의 출현〉은 바로 그 역사적 순간, 1592년 한산도 대첩을 재현한 작품입니다. 

영화-한산
영화 한산



영화의 개요와 특징 

감독: 김한민 (〈명량〉의 후속작) 

주연: 박해일(이순신), 변요한(와키자카), 안성기, 손현주 등 

장르: 해전 블록버스터

전쟁 드라마 〈명량〉이 ‘노량해전’을 다뤘다면, 〈한산〉은 그보다 앞선 시점, 이순신 장군이 학익진 전술로 일본군을 꺾었던 한산도 대첩을 중심으로 그립니다. 영화는 단순히 “승리했다”는 결과만을 보여주지 않고, 승리를 만들어낸 전략과 심리전에 집중합니다. 



한산도 대첩: 역사적 배경 

1592년, 왜군은 파죽지세로 북상했지만, 조선 수군은 연전연승을 거듭하며 일본군의 보급로를 차단했습니다. 이순신은 “바다를 장악하지 못하면 육지의 승리도 없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죠. 특히 한산도 앞바다는 조류가 복잡해, 잘만 활용하면 소수의 조선 수군이 다수의 일본군을 상대할 수 있는 천혜의 요충지였습니다. 

이순신은 이 지형을 활용해 학익진(鶴翼陣)이라는 진법을 펼쳐 일본군을 포위 섬멸했습니다. 이 전투는 임진왜란 전체 판도를 바꾸는 결정적 전투로 평가됩니다. 



영화 속 주요 인물과 드라마 

이순신(박해일): 냉철한 전략가이자 따뜻한 리더. 영화 속 그는 카리스마 넘치는 장군이면서도 깊은 고뇌를 가진 인간으로 그려집니다. 

이순신(박해일-분)
이순신(박해일 분)


와키자카 야스하루(변요한): 일본 수군 장수. 명예와 권력욕에 사로잡힌 인물이지만 동시에 전쟁의 냉혹한 본질을 보여주는 캐릭터입니다. 

와키자카-야스하루(변요한-분)
와키자카 야스하루(변요한 분)


조선 수군 장수들: 원균, 권율, 어영담 등 다양한 장수들의 모습이 비춰지며, 협력과 불화, 신뢰와 배신의 교차 속에서 인간적인 군상들을 드러냅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영웅 서사가 아니라, 전쟁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복잡한 감정을 지니는지를 보여줍니다. 

영화-스틸컷
영화 스틸컷



학익진, 전쟁을 바꾼 전술

〈한산〉의 백미는 단연 해전 장면입니다. 바다 위에 펼쳐진 학익진 진법은 마치 거대한 미술 작품처럼 화면에 구현됩니다. 

학익진의 의미: 학이 날개를 펼친 듯, 양 날개로 적을 포위하는 진법. 기동성과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영화적 구현: 수십 척의 판옥선이 바다 위에서 정교하게 포진하고, 일본군의 대형이 점차 무너져 가는 모습은 전율을 자아냅니다. 

상징성: 학익진은 단순한 전술이 아니라, 절망에 빠진 조선에 희망을 준 상징이었습니다. 

학익진-전법
학익진 전법



영화적 완성도와 차별성 

1. 비주얼 스펙터클 

최신 CG와 실제 배 제작을 결합하여, 관객이 마치 전투 현장에 있는 듯한 생생함을 전달합니다. 

2. 전략적 긴장감 

단순히 배가 부딪히고 화포가 터지는 장면이 아니라, 심리전·전술전의 치밀함을 강조합니다. 

3. 영웅의 재해석

〈명량〉이 ‘광기 어린 용기’를 강조했다면, 〈한산〉은 ‘냉철한 지략’을 부각합니다. 이순신을 또 다른 시각에서 보여주죠. 



평론가적 해석

〈한산〉은 한국 역사 영화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영웅 신화”에서 “전략 드라마”로: 단순히 영웅의 카리스마에 의존하지 않고, 전략과 리더십, 그리고 장수들의 협업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역사 교육적 가치: 청소년 관객에게는 임진왜란과 이순신의 전술을 이해할 수 있는 훌륭한 역사 콘텐츠가 됩니다. 

현재적 질문: 영화는 묻습니다. “위기 앞에서 우리는 어떤 전략과 지혜로 살아남을 것인가?” 

영화-포스터
영화 포스터



마무리

〈한산: 용의 출현〉은 단순한 전쟁 블록버스터가 아닙니다. 그것은 조선의 운명이 걸린 바다에서, 한 장군의 지략과 백성들의 힘이 만들어낸 희망의 기록입니다. 우리가 이 영화를 통해 배워야 할 것은 단순히 ‘이순신의 승리’가 아니라, 위기 속에서 전략과 연대가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사실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