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뒤의 역사] 광주 5·18 민주광장 - 시민이 만든 민주주의의 얼굴

광주 도심 한복판, 누구나 걸어가는 평범한 길처럼 보이지만 이곳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심장입니다. 

돌바닥 아래에는 1980년 5월, 시민들이 흘린 피와 눈물이 흐르고 있어요. 5·18 민주광장은 “민주주의는 누가 만드는가?” 이 질문에 명확한 답을 주는 장소입니다. 



오월, 광주 - 시민이 일어섰던 이유 

1980년 5월. 군사정권의 언론 통제와 계엄 확대 속에서 자유는 사라지고 있었습니다. 광주의 시민들, 특히 학생들은 더 이상 침묵하지 않았습니다. 

집회 금지 

언론 통제 

무력 진압 

비폭력 시위는 점점 더 잔혹하게 억압되었고,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되기 시작합니다. 

5.18-민주광장
5.18 민주광장(출처: 디지털 광주 문화대전)



도시 전체가 감옥이 된 시간 

계엄군의 진압은 가혹하고 체계적이었습니다. 

시위대를 향한 실탄 사격 

병원까지 밀고 들어온 폭력 

기자·시민·학생 가리지 않는 체포·고문 

광주는 외부와 차단되었고 도시 전체가 숨 쉴 수 없는 감옥이 되었죠. 하지만, 시민들은 서로를 지켰습니다. 



시민군 - 평범한 영웅들의 이름 없는 연대 

총을 든 시민군은 폭력의 상징이 아니었습니다. 자유와 생존을 위한 최후의 방어였죠. 

생업 종사자 

학부모 

대학생 

택시 기사 

시장 상인들 

광주의 시민들은 서로 모르는 사람과 손을 맞잡고 도시를 지켜냈습니다. 그들은 영웅이 되려 하지 않았습니다. 생명을 지키기 위해 시민이 되었습니다. 

5.18 당시 모습
5.18 당시 계엄군과 대치한 시민들의 모습



민주광장은 지금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5·18 민주광장은 그날의 시작과 끝을 기억하는 공간이에요. 이곳에서 매년 5월, 추모제와 시민 문화제가 열립니다. 그곳을 조용히 걸으며 바닥명판에 새겨진 이름을 마주할 때 우리는 질문하게 됩니다. “나는 지금 지켜야 할 가치들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가?”라고 말이죠.



인권의 교육장 - 광주가 세계에 보내는 메시지 

오늘날 5·18은 한국 민주주의를 넘어 세계 시민 인권 운동의 사례로 주목받고 있어요. 

UN 및 해외 연구 다수 

세계 인권 도시 포럼 개최 

민주화 운동 교류 협력 

광주는 상처를 꺼내 평화를 가르치는 장소로 만들었습니다. 

또한 한국 민주주의는 시민의 희생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  독재와 폭력에서 인권을 지킨 도시, 광주는 과거에 머물지 않고 세계와 연대하는 평화 도시로 나아가고 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광장 모습
광장 모습



마무리 - 민주주의는 계속해서 싸워야 하는 가치입니다 

광주 5·18이 우리에게 남긴 말: “자유는 선물로 주어지지 않는다. 우리가 스스로 지켜야 한다.” 광주를 걷는다는 건 1980년 시민들의 손을 오늘 우리가 다시 잡아주는 일입니다. 그 마음, 함께 이어가면 좋겠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